목록*故. 事 . 成. 語 (31)
태공백의 쉼터

不醉無歸(불취무귀): '취하지 않으면 돌아가지 않는다'라는 뜻으로 正祖大王의 일화에 나오는 四字成語 의 하나이다. 정조는 신하들과 흠뻑 취하는 술자리를 자주 마련했는데, 정조 16년 성균관 제술 시험 합격자들과 창덕궁 희정당에서 연회를 벌였고, 이 자리에서 정조는 합격자들에게 술과 음식을 내려주며 다음과 같이 말을 했다고 전해진다. "옛사람들은 술로 취하게 한 뒤에 그 사람의 덕을 살펴본다고 하였다. 오늘 '취하지 않은 사람은 결코 돌려보내지 않을 것(不醉無歸)이니', 모름지기 각자 양껏 마시도록 하라."(정조실록 16년 3월 2일) 당시 당파 간의 반목이 심하였고, 어떻게든 벌어진 사람들의 마음을 하나로 묶어야 할 필요를 느낀 정조는 부득이 그런 술자리를 마련했던 것이다. '취하지 않는 사람은 ..

吾唯知足(오유지족): 나는 오로지 만족할 줄을 안다. 이 사자성어 '吾唯知足'은 "口"를 가운데 두고 좌우상하에 각각 글자가 모여 하나의 글자를 이루고 있다. 吾: 나 오, 唯: 오직 유, 知: 알 지, 足: 발 족 '자신의 분수를 알고 적은 것으로도 만족할 줄 알아야 행복해진다'는 뜻으로 '만족함을 아는 사람은 빈천하여도 즐겁고, 만족함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부귀하여도 근심한다.' 지족의 소중함을 알리고 있다. 대감과 하인이 금은보화를 마차에 싣고 길을 가다가 노변에 앉아서 식사를 하는데 까마귀떼가 나무 위에서 시끄럽게 울어댄다. 요란한 까마귀 울음소리에 대감은 몹시 짜증스러운데 하인은 웃고 있는 것이다. "보거라, 이리 시끄러운데 어찌 웃고 있느냐?" "까마귀들이 말을 합니다." "그래, 까마귀들이 ..

厚顔無恥(후안무치) 낯이 두꺼워 부끄러움을 모름. 厚: 두터울 후 顔: 얼굴 안 無: 없을 무 恥: 부끄러워할 치 人面獸心(인면수심)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으나 마음은 짐승과 같다는 뜻. 마음이나 행동이 몹시 흉악함을 이르는 말. 人: 사람 인 面: 얼굴 면 獸: 짐승 수 心: 마음 심

泣斬馬謖(읍참마속): '눈물을 머금고 마속의 목을 벤다.'는 뜻으로 사랑하는 신하(臣下)를 법(法)대로 처단(處斷)하여 질서(秩序)를 바로잡음을 이르는 말. * '삼국지'의 '마속전(馬謖傳)'에 나오는 말로써 중국 촉나라 제갈량이 군령을 어겨 가정(街亭) 싸움에서 패한 마속을 눈물을 머금고 참형에 처하였다 말. *泣: 소리 없이 울 읍 *斬: 벨 참 *馬: 말 마 *謖: 일어날 속

日新又日新(일신우일신) : 날로 새롭고 또, 날로 새로워짐. 날이 갈수록 새롭게 발전하는 모습을 나타낼 때 쓰는 표현 *은나라 시조인 성탕(成湯) 임금의 반명(盤銘:대야에 새겨 놓은 좌우명 문구) ‘구일신(苟日新) 일일신(日日新) 우일신(又日新)'이라는 글귀에서 나온 문구 日: 날 일 新: 새 신 又: 또 우 苟: 진실로 구

得道多助(득도다조)는 '道(도)를 얻은 사람에게는 도와주는 이가 많다'는 뜻으로 '孟子(맹자)'의 '公孫丑 下(공손추 하)'에 나오는 말이다. * 公孫丑(공손추): 맹자(孟子)의 제자 孟子(맹자)가 말하는 得道多助(득도다조)에서 道(도)는 人心(마음)이고, 得道(득도)는 人心(마음)을 얻는 것이다. 得道多助(득도다조)라는 말은 '人心(마음)을 얻으면 도움을 주는 이가 많다'는 말이다. 동문 모임방에 이 글이 올라있기에 다시 정리해본다. '인심을 얻고 덕을 쌓으며 살아가라'는 뜻으로 풀이하고 싶다.

*馬不停蹄(마부정제): '달리는 말은 말굽을 멈추지 않는다.'는 말. 지난 성과(成果)에 안주(安住)하지 말고 더욱 발전(發展)하고 정진(精進)하자는 뜻. 馬 : 말 마, 不 : 아닐 부, 停 : 머무를 정, 蹄 : 굽 제 *驕兵必敗(교병필패): '거만 떠는 군사는 반드시 패한다.'는 말. 자기 군사력의 강함만 믿고 섣불리 적에게 위엄을 보이려 하면 반드시 패한다는 뜻. 驕 : 교만할 교, 兵 : 군사 병, 必 : 반듯 필, 敗 : 패할 패
覆水不返盆(복수불반분): 이미 엎질러진 물은 쟁반에 다시 담을 수 없다. 강태공(姜太公)의 부인이 어려운 시절을 이기지 못하고 떠났다가 강태공이 재상(宰相)이 되자 돌아왔다. 강태공이 물을 엎지르며 부인에게 말하기를 '그릇에 물을 도로 담아보라'고 한데에서 유래한 말이다. 한번 ..
身言書判(신언서판):중국 당나라 때에 관리를 선출하던 네 가지 표준. 즉 체모(體貌)의 풍위, 언사(言辭)의 변정(辯正), 해법(楷法)의 준미(遵美), 문리(文理)의 우장(優長)을 이른다. - <국어 사전>에서 나의 해석,,, 身(몸 신): 수려한 미모를 갖추지 못하였더라도 건강하고 바른 자세, 밝..
在下者有口無言(재하자유구무언) - 아랫사람은 웃어른에 대하여 할 말도 제대로 못하고 지냄을 이르는 말. 토론 문화가 성숙하려면 웃어른이나 상급자의 지위를 배제하고 상대의 좋은 의견은 수용 할 열린 마음이어야 되리라. ㅎㅎ 계급장 떼고 야그해요! 야쟈타임,,, 죠~~타! ㅎㅎ
耳懸鈴鼻懸鈴(이현령비현령)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보는 관점에 따라서 이리도 될 수 있고 저리도 될 수 있다는 뜻 정해 놓은 것이 아니고 둘러대기에 따라 다르다는 말 참,,, 안경은 코걸이요, 귀걸이요? 코귀걸이, 그거네! ㅋㅎㅎ
我田引水(아전인수): 자기 논에 물 댄다는 뜻으로, 무슨 일을 자기에게 이롭게 되도록 생각하거나 행동함을 이르는 말 我田引水式 (아전인수식): 자기에게만 이롭게 되도록 생각하거나 행동하는 방식 相對語: 易地思之(역지사지): 처지를 서로 바꾸어 생각한다는 뜻
仁者無敵(인자무적): 어진 사람에게는 적이 없다 仁: 어질 인 者: 놈 자 無: 없을 무 敵: 원수 적
不怕慢 只怕站(불파만 지파참): 느린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멈춰서는 것을 두려워하라. 不: 아닐 불, 아닐 부 怕: 두려워할 파, 편안할 박 慢: 게으를 만, 거만할 만 只: 다만 지, 외짝 척 站: 우두커니 설 참, 역마을 참
小貪大失(소탐대실):작은 것을 탐하다가 큰 것을 잃음.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진(秦)나라 혜문왕(惠文王)은 촉(蜀)나라를 정복하기 위해 욕심 많은 제후(諸侯)를 이용하기로 했습니다. 혜문왕(惠文王)은 옥(玉)으로 집채만한 큰 소를 만들고 온갖 기이한 보석으로 치장을 한 후, 이 소를 ..
2012년 올해의 사자성어 ‘擧世皆濁(거세개탁)’ 새해가 다가오면 전국 대학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교수신문이 새해 희망을 담은 사자성어를 발표한다. 2012년 올해 교수들이 가장 많이 선정한 사자성어는 바로 ‘파사현정(破邪顯正)’이었다. ‘파사현정’은 원래 불교..
易地思之: 처지를 서로 바꾸어 생각한다는 뜻으로, 상대방의 처지에서 생각하여 봄. *相對語: 我田引水(아전인수)
人無遠慮 必有近憂 -사람이 멀리까지 바라보고 깊이 생각하지 않으면 곧 근심이 생기느니라.
杞憂(기우) 杞人之憂(기인지우) 杞人憂天(기인우천) 杞:나라이름 기, 구기자나무 기. 憂:근심할 우. 人:사람 인. 之:갈 지. 天:하늘 천. *중국(中國) 기(杞)나라에 하늘이 무너질까봐 침식(寢食)을 잊고 걱정을 하는 사람이 있었다는 뜻. 쓸데없는 지나친 걱정을 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