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공백의 쉼터
양치질 타이밍 본문
양치질이란 구강 내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에, 양치질을 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식사를 하거나 간식을 먹으면 양치질을 한 의미가 없다.
식후에 하는 것은 맞지만, 치과의사들도 타이밍에 대해선 '바로 해야한다 vs 30분 뒤에 해야한다' 로 의견이 나뉘고 있다.
식후에는 입안이 산성으로 변해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치아 표면을 보호하는 에나멜질이 약해질 수 있으며, 그때 양치질을 하면 치아 표면을 손상시킬 수 있다고 한다. 치과 의사들은 물로 입안을 헹군 다음 양치질을 하는 것이 좋으며, 탄산음료 등을 마셨을 경우 가능하면 30분 정도는 기다린 다음 양치질 할 것을 권하고 있다.
또 다른 전문가들은 탄산음료뿐만 아니라 모든 음식물을 섭취한 후 3분 이내 양치질은 치아 건강에 좋지 않으며, 최소한 20~30분 후에 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권장하고 있다. 식후 20~30분 내 양치질 치아에 위험 탄산음료뿐 아니라 일반 음식 섭취 후에도 20분 뒤에 양치질할 것을 권하는 기사 참조기사 그렇기에 전면적으로 봤을 때는 음식물 섭취 후 농도가 상당히 낮아진 구강 때문에 법랑질의 손상률이 더 높아졌기 때문에 다시 정상적인 농도 수치로 돌아가려면 침의 버퍼링 효과를 기대해야 되고 그러기 위해서는 적어도 30분을 기다려야 한다. 결국 제일 효과적인 양치질은 음식물 섭취 후 30분 후에 하는 것이 제일 알맞다. 그런데 다른 기사에서는 뮤탄스균이 3분 이내에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기 때문에 3분 이내에 닦는 것이 맞다고 주장하고 있다. 관련기사
이렇듯 의사들마다 3분이냐 30분이냐를 두고 제각각 의견이 다르며, 이렇게 완전히 다른 의견을 다룬 기사가 몇 주 간격으로 번갈아가며 반복해서 실리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혼란을 느끼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의 첨예한 논쟁거리가 될 판.
결국 이 논쟁은 뮤탄스균의 증식은 가장 빨리 닦아서 막는 게 좋다 vs 산성으로 인해 치아가 약해졌을 때 닦으면 도리어 이가 상한다의 구도인데, 종합하자면 결국 뮤탄스 균이 이를 썩게 만드는 것도 결국은 산 때문이다. 고로 시지 않은 음식을 먹었을 때는 뮤탄스 균이 당분을 먹고 산을 본격적으로 만들어내기 전에 빨리 쓸어버리는 게 좋고, 신 음식을 먹었을 때는 일단 입을 헹궈내고 산으로 인해 약해진 치아의 경도가 회복될 때까지 기다리는 게 좋다는 결론이 된다.
- "나무위키" 에서 -
'*건강이 재산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몸에는 얼마나 많은 독소가 있을까? (0) | 2018.06.23 |
---|---|
알코올은 발암물질…술 한방울도 안됩니다 (0) | 2018.06.17 |
건강 식생활 노-트(3) (0) | 2011.12.24 |
건강 식생활 노-트(2) (0) | 2011.12.21 |
건강 식생활 노-트(1) (0) | 2011.12.20 |